777 (かめりあ's "7,777cc" Remix)/Team Zeta의 레벨(r16)

해당 리비전 수정 시각: ()
[주의!] 문서의 이전 버전(에 수정)을 보고 있습니다. 최신 버전으로 이동
파일:아이콘 상위 문서.png 상위 문서:
,
,
,
,
| 레벨 제작자
합작 명의
트랙
이펙트
Asansis[1], colends, 바선생, Byeol, PillyXD, Gawi, TENCARATHilL, DDJ, 나가, 브이엘
| 출시일
2025년 7월 11일[2]
2025년 7월 27일[3]
2025년 8월 6일[4]
| 레벨 정보
곡 길이
4:10
BPM
7777
타일 수
9785
| 주요 패턴
파일:Level_Tag_Acceleration.png파일:Level_Tag_Gallop.png파일:Level_Tag_Gimmick.png파일:Level_Tag_Midspin.png파일:Level_Tag_Pseudo.png파일:Level_Tag_U-Turn.png파일:Level_Tag_Timing_Window_Scale_DLC.png파일:Level_Tag_Zips.png
| 난이도
창작마당
-
ADOFAI.gg
-
TUF
파일:TUF Lv Q3.png (파일:TUF Lv U15.png)
| 주요 링크
파일:Youtube.png | 파일:Youtube.png[5] | 파일:TUF-logo.png

1. 개요2. 특징3. 기믹4. 구간
4.1. 0%~8%4.2. 8%~29%4.3. 29%~38%4.4. 38%~45%4.5. 45%~49%4.6. 49%~79%4.7. 79%~100%
5. 평가6. 다른 버전
6.1. Nerfed
7. 여담

1. 개요 [편집]

Team Zeta의 7번째 합작 레벨.

2. 특징 [편집]

레벨의 패턴은 다른 질주맵[6] 과 유사하나, 해당 레벨에서는 8키 질주에서도 가차없이 45도 트릴[7]이 삽입되었다. 짧게 짧게 등장하지만, 전체적인 부분에서 지속적으로 나오는 것을 고려하면 레벨의 난이도를 크게 올리는 요소로 작용한다.

54%~64% 구간[8]자동 플레이 타일이다. 최후의 양심

채보 원본과 비교하였을때, 이펙트 버전이 살짝 버프[9]되었다.

전체적으로 레벨의 특정 부분에 난이도 분포가 몰려있다.

3. 기믹 [편집]


레벨의 시그니처 기믹으로, 데스 카운트 시스템이 존재한다.
이 기믹 덕분에 레벨의 난이도가 절망적으로 상승한다.

데스 카운트는 우측 하단에 표시되며 아래와 같이 동작한다.
  • 레벨 시작 시 77로 초기화된다.
  • 정확 콤보가 끊기거나 [10] 너무 빠름 판정이 발생할 때 영구적으로 1 감소한다.
  • 카운트가 0이 되면 사망한다.

남은 카운트가 50, 30, 20, 10일 때 카운트가 1 감소하면 플래시 효과가 나타난다.

첫 타일 위 네모 장식을 사각형 테두리 안으로 드래그하면 기믹을 비활성화할 수 있다. [11]

4. 구간 [편집]

4.1. 0%~8% [편집]

Part 1
VFX : 바선생, colends

초반부에는 전체 채보에 비해 비교적 쉬운 난이도를 보여주지만,
BPM이 700에서 7777까지 매우 빠르게 가속하는 구간을 기점으로, 시동을 걸기 시작한다.

4.2. 8%~29% [편집]

Part 2
VFX : PillyXD, byeol

본격적인 초살이 시작되는 부분이다. 여태껏 본 적 없던 64비트[12] 질주에 45도 트릴 8타일이 지속적으로 등장한다.

박자를 뭉개면 놀랍게도 8비트[13] 단위로 전 구간 16키 처리가 가능하다.

제작자는 이것을 의도하였지만, 채보를 만들면서 이 구간 이후로 타법을 생각한 적은 없다고 한다.

4.3. 29%~38% [편집]

Part 3
VFX : Gawi

초살이 끝나서 고 BPM 구간이 줄어들긴 했지만, 그렇다고 존재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.
64비트[14] 2동타 8번, 총 4회 반복으로 마무리된다.

4.4. 38%~45% [편집]

Part 4
VFX : TENCARATHilL

기믹이 켜져 있는경우, 이 구간동안 카운트 바가 가려진다.
하지만 시각적으로만 가려졌을 뿐, 기믹이 해제된 건 아니다.
중간중간 나오는 인상깊은 토마스 급발진 패턴이 주를 이룬다.

4.5. 45%~49% [편집]

Part 5
VFX : DDJ

기믹이 켜져 있는경우, 해당 구간이 시작할 때 카운트 바가 재등장한다.
쉬어가는 구간이지만, 판정 범위가 25%임에 유의.

4.6. 49%~79% [편집]

Part 6
VFX : 나가

이전 파트가 마지막 쉬는 구간이며, 다시 한 번 시동을 걸기 시작한다.

54%~64% 구간은 레벨의 시그니처 파트로 동타 소용돌이 구간이다.
이 구간에만 960타일이 존재하며, 모두 자동 플레이 타일이다.
사실상 마지막 준비인 셈.

64% 이후 레벨의 후살이 시작된다. 초살과 비교하여 45도 트릴이 더 많이 등장하며,
해당 구간부터 16키로 처리가 불가능함이 확인되었다.

4.7. 79%~100% [편집]

Part 7
VFX : 브이엘

약간의 쉬는 타이밍 이후 곧바로 128비트[15] 동타 질주가 시작된다.
이후 나오는 무지개 파트가 레벨의 하이라이트다.

하이라이트에 걸맞게 45도 트릴이 가장 많이 나오며, 직선 256비트[16]가 등장한다.

마지막에는 5회의 7동타 사이에 서로 다른 질주 패턴이 들어가 있는데, 이 질주 패턴은 말로 형용할 수 없다.
이 구간이 끝나면 99%가 된다.

약간 쉬다가 마지막으로 256비트[17] 16타일 이후 64비트[18] 동타로 큰 원을 그리면서 레벨이 완료된다.

5. 평가 [편집]

TUF에서 Q3 레벨로 최초 책정되었다.

레벨의 기믹이 처음 소개되었을 때, 기믹이 너무 가혹하다는 의견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.

Jipper의 실시간 방송에 따르면, 해당 레벨의 기믹을 해제하였을 때 Hello (BPM) 2025보다 어렵고 HALL보단 쉽다고 언급했다.

6. 다른 버전 [편집]

6.1. Nerfed [편집]

| 레벨 제작자
| 출시일
2025년 8월 6일
| 레벨 정보
곡 길이
4:10
BPM
7777
타일 수
6614
| 주요 패턴
파일:Level_Tag_Gallop.png파일:Level_Tag_Gimmick.png파일:Level_Tag_Midspin.png파일:Level_Tag_Pseudo.png파일:Level_Tag_U-Turn.png파일:Level_Tag_Zips.png
| 난이도
창작마당
-
ADOFAI.gg
-
TUF
-
| 주요 링크
파일:Youtube.png


위 레벨을 10키로 처리할 수 있도록 크게 너프되었으며, 타이밍 스케일이 제거되었다. 기믹은 오리지널과 동일하게 적용된다.

7. 여담 [편집]

  • 곡 제목에 7이 많이 들어간 것을 이용하여 Team Zeta의 7번째 합작이면서 7월 27일 7시 27분에 공개되었고, 7개의 파트로 나누었다고 한다.
  • 레벨의 배포가 확실하지 않은 상태였으나, 채보 공개 이후 3주만에 허가를 받음으로서 배포가 확정되었다.
  • 원래는 기믹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로 레벨을 공개하려고 했으나, 이펙트 버전이 나오기도 전에 누군가가 유튜브 영상을 분석하며 타법을 연구하고 클리어하겠다고 선전포고를 하자, 이것이 괘씸죄로(...) 작용되어 클리어 억제기 역할로 추가했다고 한다.
  • 기믹을 끄고 첫 타일에서 시작하여 77삑 이상 난 경우 마지막 타일에서 "U NEED MORE PRACTICE" 띄운 후 죽이면 어떨까?를 농담 삼아 꺼낸 적이 있다. 실제 레벨에는 들어가있지 않다.
[1] 모든 파트의 이펙트를 보완하는 역할을 했다.[2] 최초 채보 공개일[3] 이펙트 버전 공개일, 7시 27분에 업로드되었다.[4] 최종 픽스 날짜, 너프 버전이 나오면서 수정되었다. 후반 플래시 완화 및 세부 디테일이 추가되었다.[5] 채보 버전[6] Hello (BPM) 2024, Hello (BPM) 2025[7] 체감 BPM은 15554이며, 가끔씩 토끼가 붙어있는 상태로 나오기도 한다. 이 경우 체감 BPM은 31108이다.[8] 썸네일 중간에 박혀있는 동타 소용돌이 구간.[9] 64% 이후 질주 패턴, 95% 구간의 5동타가 7동타로 변경[10] 다른 판정이 연속해서 뜰 경우 한 번만 카운트된다.[11] 기믹을 비활성화하더라도 별다른 페널티는 존재하지 않는다. 이후, 해당 기믹은 챌린지의 의미로 변질되었다. 나. 무적.[12] 3888.5BPM[13] 486.0625BPM[14] 3888.5BPM[15] 7777BPM[16] 15554BPM[17] 15554BPM[18] 3888.5BPM
모든 문서는 CC BY-NC-SA 4.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.